티스토리 뷰
국내에서는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이지만
해외 미디어에서는 이미 유료화 성공 사례가 많이 있습니다.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유료화 모델
1. 하드페이월
- 돈을 내기 전에는 기사를 볼 수 없도록하는 모델
- 가장 강력하고 분명한 디지털 뉴스 유료화 형태
- 루퍼트 머독 소유 매체가 하드페이월 적용
- ex) 월스트리트저널, 더 타임스, 선데이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의 경우 구독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첫 두 달은 1달러라는 파격적인 가격을 제시하지만, 두 달이 지난 뒤에는 28.99달러 정상가격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2. 미터드 페이월 (종량제)
- 몇 개의 기사는 무료로 볼 수 있도록 하고 그 한도를 넘어설 때부터 요금을 부과하는 모델
파이낸셜타임스는 독자들에게 부담되지 않는 유연한 종량제식 유료화와 전문 정보를담은 심층 콘텐츠로 기업체의 수요를 자극합니다. 일반 뉴스 10개(월 단위, 과거 30개에서 축소)에 한해 무료 접속을 허용하면서 무료 방문자를 유료 독자로 전환하는 데 성공하고 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2010년 유연한 ‘종량제’ 개념으로 다시 유료화에 도전하였습니다.
월 20건(현재 10건)의 기사까지는 무료 접근을 허용해 트래픽 수준을 유지하고, 충성도 높은독자들에게는 이용료를 받는 모델로 미터드 페이월을 채택하였습니다.
3. 프리미엄 모델
- 무료 기사와 유료 기사를 구분하여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프리미엄 모델은 아마 한국 언론사에서 유료화를 한다면 가장 가능성이 높은 모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비슷비슷한 기사가 넘치는 상황으로 대체재가 풍부한 시장에서 전면 유료화를 할 수 있는 언론사는 없다고 생각되며결국 유료화를 하기 위한 프리미엄 콘텐츠가 필요해 지는데 이런 콘텐츠를 생산해 낼 수 있는 언론사가 얼마나 될지는 의문입니다.
'Med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경제 고객센터 전화번호 (1) | 2024.06.04 |
---|---|
다음, PC 메인페이지 개편 (0) | 2017.04.27 |
네이버, PC 버전 메인 개편 (0) | 2017.04.27 |
연합뉴스, 네이버 PC '많이 본 뉴스' 54% 차지 (0) | 2016.12.06 |
미디어 혁신 사례 발표회 (0) | 2016.07.15 |
- Total
- Today
- Yesterday
- 아이폰
- 매일경제
- 매경 고객센터
- 애플
- 언론사
- 조선일보
- 트위터
- 미디어
- 뉴욕타임스
- 구글
- 앱스토어
- 모바일
- 파란
- 포털
- 지도
- OS
- 뉴스
- 네이버
- 빙
- 뉴스캐스트
- 신문
- MS
- 매일경제 고객센터
- 다음
- 네이트
- 언론사닷컴
- 모바일웹
- DNA
- 구글애널리틱스
- 뉴스스탠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