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에서는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이지만 해외 미디어에서는 이미 유료화 성공 사례가 많이 있습니다.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유료화 모델 1. 하드페이월 - 돈을 내기 전에는 기사를 볼 수 없도록하는 모델 - 가장 강력하고 분명한 디지털 뉴스 유료화 형태 - 루퍼트 머독 소유 매체가 하드페이월 적용 - ex) 월스트리트저널, 더 타임스, 선데이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의 경우 구독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첫 두 달은 1달러라는 파격적인 가격을 제시하지만, 두 달이 지난 뒤에는 28.99달러 정상가격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2. 미터드 페이월 (종량제) - 몇 개의 기사는 무료로 볼 수 있도록 하고 그 한도를 넘어설 때부터 요금을 부과하는 모델 파이낸셜타임스는 독자들에게 부담되지 않는 유연한 종량제식 유료화와 전문..
최근 네이버와 다음의 PC 버전 메인이 각각 개편되었습니다. 특히 네이버의 메인 페이지 개편은 여러 인터넷 서비스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네이버가 선두이다 보니 여러 서비스에서 네이버의 UI.UX를 표준으로 삼고 유사한 형태로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걸 따라한다고 비판만 하기 어려운 것이 사용자의 경험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인데..국내 인터넷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네이버에서의 사용자 학습 경험이 다른 서비스를 이용할 때도 이어지기 때문입니다.네이버와 완전히 다른 새로운 UI를 구성했을 때 아.. 이거 너무 불편하다는 소리가 나오기 때문이죠. 그럼 네이버 메인 개편의 주요 변화를 한번 보겠습니다. 1. 해상도 확대가장 큰 변화인데요 네이버의 해상도가 가로 1080까지 늘어났습니다...
원문은 아래 경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journalist.or.kr/news/article.html?no=40511 연합뉴스, 네이버 PC '많이 본 뉴스' 54% 차지 네이버 PC의 ‘많이 본 뉴스’에서 연합뉴스 기사가 5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음 PC의 ‘많이 본 뉴스’에서 연합뉴스의 비율은 14.8%로, 네이버에 비해 약 1/5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네이버 '많이 본 뉴스' 언론사 순위.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팀(오세욱·양정애 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이 올해 5월1일부터 31일까지 한 달 간 네이버와 다음 뉴스에서 ‘가장 많이 본 뉴스’ 등을 분석해 1일 발표한 미디어 이슈 보고서에 따르면 특히 네이버 정치와 사회 분야에서 연합뉴스는 각각 80%와 71%로 압도..
2016년 7월 13일 진행 된 신문협회의 '미디어 혁신 사례 발표회' 내용입니다.미디어의 트렌드는 모바일 퍼스트를 넘어서 비디오 퍼스트로 가고 있는 상황이라 모바일 카테고리로 분류합니다. 1. 디지털시대 신문의 미래 혁신 방안* 발표 : 김위근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원 (INMA 세계총회 자료를 중심으로 발표) * 주요 내용- 한국은 2026년 신문 종말 예정- 한국의 경우 20~30대와 40대의 미디어 이용 큰 차이를 보임 20~30대는 TV,인터넷 위주 / 40대는 TV 위주 공통점 : 동영상 컨텐츠- 해외에서는 디지털 퍼스트, 모바일 퍼스트를 넘어 비디오 퍼스트가 화두 * 수용자 측면- 독자참여 : 해외 다수의 언론에서 독자 참여를 높이기 위한 실험 중- 독자를 데이터화하고 이를 분석하여 컨텐츠..
머니투데이가 기사 서머리 서비스 ttimes 를 오픈했습니다.(관련기사 : 모바일시대 뉴스서비스 'T Times' 출시) 이 서비스는 주요 기사를 10줄 내외로 요약하여 서비스하는데요과거에도 뉴스서머리가 미디어의 새로운 서비스로 주목 받았었는데기계적인 요약에 대한 거부감 등으로 조용해 졌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머니투데이의 서비스는 기계적 요약이 아닌 기자들이 주요 이슈를 직접 요약하여 서비스합니다.T times는 Ten Lines News, 즉 10줄 요약 뉴스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최근에 넘치는 실시간 검색어 기사와 SNS매체의 가십성 기사들에 질린 분들을 위한 타겟팅으로 보이는데요모바일웹 전용으로 서비스하지만 아마 주요 유통 플랫폼으로 페이스북을 생각하는 것으로 보입니다.카드뉴스 등 페북 등에서 소비..
매일경제 모바일 홈페이지가 개편되었습니다. 매일경제 모바일웹 바로가기 이번 개편의 가장 큰 특징은 반응형 웹의 구현입니다.사용자의 다양한 디바이스에 대응하기 위해 반응형 웹을 구현하였는데요전체 서비스 페이지의 약 70%... 주요 서비스인 뉴스 서비스는 리스트와 뷰페이지까지 반응형 웹을 구현 하였습니다. 아래 화면을 보시면 이해하기 쉬우실 듯 합니다. 모바일웹 메인 화면 (스마트폰) 모바일웹 메인 화면 (태블릿PC) 이 외에도 많은 개선이 있었는데요큰 변화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UI 개선과 페이지 속도 개선모바일을 통한 로그인/회원 가입 프로세스 구축모바일 환경을 위한 클린 url 적용포토 슬라이드 개선 (풀브라우징 뷰)모바일-PC버전 간 이동 정확도 개선SNS를 통한 기사 공유 기능 강화기사 동영상 ..
- Total
- Today
- Yesterday
- 뉴스캐스트
- 빙
- 신문
- 언론사닷컴
- 조선일보
- 파란
- 다음
- 매경 고객센터
- 모바일웹
- 미디어
- 매일경제 고객센터
- 트위터
- 애플
- DNA
- OS
- 네이트
- 아이폰
- 구글
- 뉴스스탠드
- 매일경제
- 구글애널리틱스
- 네이버
- 뉴스
- 언론사
- 포털
- 모바일
- 앱스토어
- 지도
- 뉴욕타임스
- M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